본문 바로가기

세상/부동산,주식25

아현2구역 마포더클래시 10월 후분양 12월 입주 예정 정리 아현 2구역 마포더 클래시 분석 정리(10월 후분양 예정) ■ 사업개요 위치는 서울 마포구 아현동 662, 시공사는 SK애코플래트, 현대산업개발이다. 세대수는 총 1,419세대 중 일반물량(후분양) 56(59, 84타입)세대 예정이다. 단지 규모는 최고 25층, 총 17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9년에 착공신고가 되어 현재 한참 마감 공사 중이고 올해 12월 입주 예정이다. ■ 입지 및 상권 마포더클래시 주변에는 5개의 지하철역이 있다. 이대역(2호선), 아현역(2호선), 애오개역(6호선), 신촌역(경의중앙), 충정로역(2,5호선) 아현2구역 마포더클래시에서 역까지 도보로 걸어간다면 이대역은 5분, 아현역은 6분, 애오개역은 11분 거리이고 조금 더가면 경의중앙선 신촌역은 16분, 충정로역은 20분이.. 2022. 10. 12.
분양가 상한제 개편 내용 정리 ■ 분양가 상한제 국토교통부령에서 분양가를 정하는 기준 이하로 설정하는 제도. 아파트 분양할 때 상한선 두고 가격을 정하는 제도. 2019년 하반기부터 민간 아파트에도 적용하기 시작했다. 서울 18개 구, 경기 3 개시 지역에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하였고 계도기간을 거쳐 20년 07월 29일부터 본격적 시행했다. 적정 수준의 가격으롯 부담 없이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분양가 상한제는 근래에 생긴게 아니라 1977년도 첫 시행 후 폐지와 부활이 여러번 반복되었다. 분양가 책정 = '택지비 + 건축비'로 산정 후 공급 가격, 감정평가액 등 택지 가산비를 더해 국토부에서 최종 결정 - 택지비 = 감정평가액 + 택지 가산비 : 인증된 전문가(택지비 검증위원회 신설)가 실시한 감정평가액에 시설 설.. 2022. 10. 11.
공덕1구역 마포힐스테이트자이 12월 분양 예정 분석 정리 공덕 1구역 마포힐스테이트자이 분석 정리(22년 12월 분양 예정) ■ 사업개요 위치는 서울 마포구 공덕동 105-84, 시행사는 공덕 1구역 주택 재건축 정비사업조합, 시공사는 GS건설, 현대건설이다. 세대수는 총 1,101세대(59 타입 392세대, 84 타입 612세대, 114 타입 117세대) 중 임대 65세대, 일반분양 450세대 예정이다. 단지 규모는 지하 3층 ~ 지상 20층, 공동주택 11개 동 및 부대복리 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사업 진행 현황 기본계획수립 안전진단 정비구역지정 초기위원회승인(06.08.07) 조합설립인가(14.03.28) 사업시행인가(17.02.22) 사업시행인가(17.02.22) 관리처분인가(18.04.16) 현재 철거 진행 중이고 올해 12월 분양 예정이다. ■ 입지.. 2022. 10. 11.
2022 하반기 서울 청약 연기 분위기가 안좋다 2022 하반기 서울 청약 연기되나 올해 서울 청약 일정을 보면 진작에 나왔어야될 청약 기회들이 다 미뤄졌다. 현재 무주택자로서 서울 청약 당첨을 위해 버티고 있지만 올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연준에서 기준 금리 인상으로 한국도 기준금리 인상 등등 하반기 분위기가 너무 안좋다. 타지역은 잘 모르겠지만 서울에서 새 아파트 '분양 절벽'이 계속해서 장기화되고 있다. 올해 분양 예정이었던 재건축,재개발 단지 공급이 무더기로 연기됐기 때문이다. 2022 서울 아파트 실제 공급 15.2% 올해 서울에서 분양된 아파트는 총 가구수 기준 7,363가구로 집계됐다. 원래는 48,589가구가 분양 시장에 나올 예정이었지만, 실제 공급은 15.2%에 불과했다. 나머지 85%에 달하는 예정량에 대한 구체적인 일정은 아.. 2022. 10. 6.
2022 하반기 서울 청약 일정 정리 (아파트분양) 나는 서울에 거주하지만 아직 집이 없다. 내년 1월에 전세가 끝나서 지금 플랜을 잘 짜야한다. 지금 하는 생각과 선택들이 우리 가족의 미래를 결정짓는다. 원래는 지금쯤 서울 분양이 많이 터져 나와야 하는데 원자재값 상승으로 인한 공사비 증가로 인해 분양이 대거 밀리면서 많이 연기되고 있다. 하지만 연준에서 금리를 인상함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도 수십 년 만의 금리인상을 하고 있고, 금리 인상은 올해까지는 올라가는 게 거의 확정되었고 내년까지 오를 것까지 생각해야 한다. 금리 인상은 대출 이자 증가 부담으로 레버리지족들의 심리를 위축시키고 미분양 우려가 있어, 분양 연기는 마냥 미룰 수 없는 시점이 되고 있다. 무주택자인 나로서는 지금이 소중한 기회이다. 몇 가지 플랜이 있지만, 여기서는 당장 올해 서울에서.. 2022. 10. 2.